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대표적인 장 종류 정리 (된장, 간장, 고추장)

by 제임스 유 2025. 7. 13.

 

한국의 대표적인 장 종류 정리 관련 사진
한국의 된장

 

 

한국의 장 종류 – 전통 발효 음식문화의 근간

한국의 장(醬)은 단순한 조미료를 넘어서 한국인의 정서, 식문화, 건강을 담고 있는 발효 식품의 결정체입니다. 된장, 간장, 고추장은 수천 년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슬로 푸드’로, 각 가정의 솜씨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장은 밥상 위에서 한식의 기본을 이루는 동시에, 전통과 과학이 결합한 건강식품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1. 📜 한국 장의 역사와 기원

장의 기원은 고대 삼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 문헌에는 이미 메주와 장을 이용한 저장식품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장은 겨울철 식량을 저장하는 방안이자, 곡류 중심의 식생활에서 부족한 단백질을 보충하기 위한 지혜로운 방식이었습니다. 불교가 국교가 된 고려시대에는 채식 위주의 반찬으로 된장이 널리 퍼졌으며, 조선시대에는 장 담그기가 가사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2. 🧂 전통 장류의 3대 종류

2.1 된장

된장은 삶은 콩으로 만든 메주를 소금물에 넣고 수개월간 발효시켜 만든 장입니다.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유산균 및 효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국, 찌개, 나물무침, 쌈장 등 다양한 요리에 기본양념으로 사용됩니다. 전통된장은 지역마다 차이가 큰데, 예를 들어 전라도 된장은 짙고 묵직한 맛이 강하고, 강원도는 비교적 담백한 맛을 지닙니다.

 

&된장 종류 설명

집된장 가정에서 전통 방식으로 만든 된장. 자연발효, 장독대 숙성.
시판된장 공장에서 위생적 설비로 생산, 균일한 맛을 유지.
재래식된장 전통 방식과 유사하나 대량 생산용. 발효균을 조절하여 생산.
청국장된장 청국장균(발효속도 빠름)을 활용한 특유의 냄새와 맛.
혼합된장 된장에 쌀, 보리, 조미료, 설탕 등을 섞어 맛을 낸 가공품.

 

&지역 특징

전라도 간장보다 된장 비율이 높고 구수하고 짭짤한 맛.
경상도 된장과 간장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많고 짠맛 강조.
강원도 산간 기후로 인해 담백하고 깔끔한 발효 풍미.
충청도 감칠맛이 강하고 부드러운 된장이 많음.
제주도 해풍과 기온 차 영향으로 특유의 깊은 향미.

2.2 간장

간장은 메주를 담근 후 생기는 액체 성분으로, 짭조름하면서도 감칠맛이 뛰어난 발효장입니다. ‘국간장(조선간장)’과 ‘양조간장’으로 나뉘며, 국간장은 전통 방식의 발효 간장으로 짠맛이 강하고, 양조간장은 단맛과 조미료 성분이 포함된 현대식 간장입니다. 나물, 찜, 조림, 국물 요리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간장 종류 설명

재래간장(집간장) 전통 방식으로 만든 간장. 장독대 발효, 깊은 맛과 향. 된장과 함께 생성됨.
양조간장(진간장) 메주 대신 탈지대두+밀+효모로 빠르게 발효. 대량생산에 적합.
산분해간장 콩 단백질을 염산으로 분해 후 중화, 빠르게 생산. 감칠맛 강하나 영양 떨어짐.
조림간장 색이 진하고 짠맛 강해 조림용으로 사용. 보통 혼합간장.
맛간장 멸치, 다시마, 설탕 등을 섞은 간장. 간편 조리용.
기타 특수 간장 쌈간장, 초간장, 불고기양념간장 등 활용형 혼합 조미장류.

 

&지역 특징

전라도 된장보다 간장 비중 낮음. 깊은 감칠맛, 짭짤함.
경상도 간장이 매우 짠편, 장어, 국물요리에 많이 활용.
충청도 달착지근하면서 부드러운 맛.
강원도 담백하고 깔끔한 맛. 저염장 문화.
제주도 해풍과 미생물 환경 영향으로 짭조름하고 짙은 풍미.

 

2.3 고추장

고추장은 찹쌀밥이나 보리밥, 고춧가루, 메주가루, 엿기름 등을 섞어 수개월에서 수년간 숙성시킨 장입니다. 매콤함, 단맛, 구수함이 조화를 이루며 비빔밥, 떡볶이, 고추장찌개에 빠질 수 없는 양념입니다. 특히 고추장은 조선 중기 이후 고추가 전래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되었고, 한국 특유의 매운맛 문화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고추장 종류 설명 (분류 기준)

원료에 따라 찹쌀고추장 가장 일반적인 고추장, 점도 높고 단맛 강함
  보리고추장 덜 달고 담백함, 발효가 깊어 맛이 구수
  밀고추장 밀의 고소함과 부드러움, 도시형 고추장
제조 방식에 따라 재래식 고추장 집에서 담근 전통 방식. 지역성 강함
  공장형 고추장 HACCP 관리 하에 생산, 위생적이고 균일한 맛
기타 매실고추장, 꿀고추장, 저염고추장 기능성/가공 고추장 제품들

 

&지역 특징

전라도 찹쌀+보리 조합, 진하고 매콤달콤한 맛
경상도 고춧가루 비율이 높아 맵고 진한 맛
강원도 산간기후로 인해 짜지 않고 부드러움
충청도 엿기름을 많이 넣어 달짝지근
제주도 해풍과 재래방식 고수, 깊은 구수함 강조

 

3. 🥄 기타 전통 장 종류

  • 청국장: 짧은 시간(1~3일) 고온 발효시켜 만든 장으로, 냄새는 강하지만 유익균이 풍부하며 건강식으로 인기입니다.
  • 쌈장: 된장과 고추장을 섞고 마늘, 파, 참기름 등을 더해 만든 복합장으로, 고기쌈과 찰떡궁합입니다.
  • 막장: 생된장에 생채소, 고춧가루, 마늘 등을 넣고 즉석에서 섞어 먹는 장으로, 주로 경상도 지방에서 사용됩니다.
  • 겨자장: 겨자 가루에 식초, 설탕, 간장을 넣어 만든 장으로, 냉채나 보쌈 등에 활용됩니다.
  • 멸치젓국장: 멸치젓에서 우러난 액체를 따로 숙성시켜 국물요리에 사용, 전라도 지방에서 특히 많이 사용합니다.

4. 🏺 발효 방식과 장독대 문화

한국 장의 발효는 자연과 시간, 그리고 장독이라는 전통 도구가 결합된 예술입니다. 항아리는 숨을 쉬는 그릇으로, 외부 산소를 적절히 유입시키고, 습기와 온도를 조절하여 발효를 돕습니다. 장독대는 대체로 남향 또는 동향으로 설치되어, 햇볕을 적절히 받고 바람이 잘 통하게 배치됩니다. 장은 발효 과정 중 유익균(바실러스균, 효모, 유산균 등)이 활동하며 독특한 풍미와 기능성 물질을 생성합니다.

5. 🌾 장의 재료와 영양학적 가치

  • 콩(대두): 단백질과 이소플라본이 풍부하여 장 건강에 탁월한 식재료입니다.
  • 찹쌀/보리: 고추장에 단맛과 발효촉진 역할을 하며, 풍미를 높입니다.
  • 고춧가루: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고 고추장의 향을 담당합니다.
  • 소금: 잡균을 억제하고 발효 속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엿기름: 당화를 유도하여 발효가 촉진되고 단맛을 부여합니다.

6. 🧬 현대 장류의 변화와 혁신

최근에는 장을 기반으로 한 퓨전 음식, 가공식품, 건강보조식품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과고추장’, ‘토마토된장’, ‘치즈쌈장’ 등은 외국인들에게도 인기 있으며, 튜브형 장류는 휴대와 보관이 용이해 도시락, 캠핑식 등에 적합합니다. 또한, 유산균 함량을 높인 건강 장, 저염 장, 글루텐프리 장 등 기능성 제품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7. 🌍 장류의 세계화

K-푸드의 열풍과 함께 한국의 장류는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고추장은 미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서 큰 인기를 끌며, 비빔밥, 불고기, 떡볶이의 필수 소스로 사용됩니다. 된장은 일본의 미소와 차별화된 깊은 풍미로 주목받고 있으며, 간장은 일식용 쇼유보다 더 깊은 맛으로 일부 고급 요리에서 선호됩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채식과 발효식품 붐에 힘입어 유기농 전통 장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8. 🧭 장류의 주요 재료 & 지역 장류 및 현대 응용 장류

8-1. 재료 설명

콩(대두) 된장, 간장, 청국장의 기본 원료.
찹쌀/보리밥 고추장 만들 때 사용. 발효에 필요한 당을 공급.
고춧가루 고추장의 핵심 재료. 매운맛과 색감을 제공.
소금 발효 억제균을 제어하고, 장의 맛을 조절.
엿기름 당화 작용을 도와 고추장의 달콤한 맛 유도.

 

8-2. 장 이름 설명

개성 겨자장 겨자 가루에 식초와 꿀 등을 섞어 만든 장. 보쌈이나 수육에 곁들임.
멸치젓국(젓간장) 멸치젓을 오랜 시간 숙성시킨 뒤 맑은 윗물을 떠낸 장. 전라도 지역에서 국간장 대용으로 사용.
게장장 간장에 생 게를 절여 만든 장. 간장게장의 핵심 맛 요소.
홍어장 삭힌 홍어를 담글 때 사용하는 장으로, 특유의 톡 쏘는 맛과 함께 지역 특색이 뚜렷함.
청매실장 매실액과 간장 또는 된장을 혼합하여 만든 장. 상큼하면서 감칠맛이 있어 무침요리 등에 사용.
사과된장, 토마토고추장 현대식 장으로, 과일이나 채소 퓨레를 장에 섞어 달콤한 맛과 색을 살림. 퓨전 한식에 활용.

 

&한국의 장은 단순히 음식의 양념이 아니라, 조상들의 지혜와 자연에 순응한 식문화의 결정체입니다. 그 안에는 과학, 예술, 생태, 영양이 공존하며, 앞으로도 장은 한국인의 밥상뿐 아니라 세계인의 식탁에도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맛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문화의 뿌리이자 미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