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치의 생태와 특징, 영양 성분과 건강 효능
1. 꽁치의 생태와 특징꽁치(Saury, 학명 Cololabis saira)는 바다에서 서식하는 대표적인 회유성 어류로, 청어목(Clupeiformes)에 속한다.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 국가들에서 대중적으로 소비되는 생선이며, 계절별로 풍부하게 어획되는 것이 특징이다.꽁치는 길고 가느다란 몸통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길이는 25~30cm, 무게는 150~200g 정도이다. 몸빛깔은 위쪽이 청회색이고, 배 쪽은 은백색을 띠며, 지느러미가 작은 편이다. 특히 꼬리 부근이 가늘고 길며 날카로운 형태를 띠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체형은 빠른 유영을 가능하게 하고, 무리 지어 다니며 먹이활동을 하는 습성에 유리하다.서식지는 북태평양을 중심으로 하며, 수온 10~20℃ 사이에서 활발히 활동한다..
2025. 10. 7.
살구의 기원·분류·재배, 영양 성분·과학적 효능·안전성
1) 살구의 기원·분류·재배살구(Prunus armeniaca)는 장미과 핵과류로 복숭아, 자두, 살구(낙엽성)와 근연이다. 학명 속명은 ‘아르메니아’를 뜻하지만 실제 기원은 중국·중앙아시아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며, 실크로드 교역을 통해 서아시아·지중해·유럽으로 확산되었다. 한국에는 오래전 도입되어 조선시대 문헌에도 살구와 살구꽃 기록이 등장한다. 살구꽃 개화기는 이른 봄으로, 전통적으로 농사철의 시작을 알리는 계절 지표로 여겨졌다.분류·형태학적 특징수형: 중소형 낙엽과수, 수세는 강한 편이나 전정으로 관리 용이잎·꽃: 타원형 잎, 3–4월 백·연분홍 꽃 개화(지역차 존재)과실: 3–6cm 구형, 황오레인지색 과피, 미세한 융모·왁스층핵(씨): 단단한 내과피, 내부 종인은 전통의학에서 ‘행인(杏仁)’으로..
2025. 10. 7.